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aws eks
- Istio
- argocd
- blue-green 업그레이드
- Kind
- eks 업그레이드 전략
- inplace 업그레이드
- k8s인증
- Kubernetes
- eks auto mode
- irsa
- bottlerocket
- eks인증
- loadbalancer
- aws k8s 업그레이드
- eks 모니터링
- vagrant
- grafana
- CICD
- K8S
- Ingress
- WSL
- vpc cni
- aws 워크샵
- CNI
- docker
- eks autoscaling
- prometheus
- Jenkins
- service mesh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eks auto mode (1)
WellSpring

※ 본 게재 글은 gasida님의 'AEWS' 강의내용과 실습예제 및 AWS Fargate 및 AutoMode 관련 공식사이트와 Blog 등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 목차[ 이론 정리 ]◈ k8s Scheduler 에 대하여☞ kubernetes에서 scheduling 은 Kubelet이 파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파드가 노드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. 1) kube-scheduler 란? - 쿠버네티스의 기본 스케줄러이며 컨트롤 플레인의 일부로 실행된다. kube-scheduler는 원하거나 필요에 따라 자체 스케줄링 컴포넌트를 만들고 대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. 2) Scheduler 의 역할 - 새로 생성되었거나 아직 예약되지 않은(스케줄링되지 않은) 파드를 실행할 최적의 노드..
AEWS
2025. 3. 17. 23:45